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사용할 주소 및 포트 지정
    프로그래밍/네트워크 프로그래밍 2014. 5. 22. 03:56
    반응형

    소켓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생성한 소켓에 인터넷상의 주소와 포트 번호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. 

    클라이언트에서 생성한 소켓은 연결할 목적지를 알아야 할 것이고, 서버에서 생성한 소켓은 로컬 영역에서 어떤주소와 포트번호에 

    소켓을 연결할 지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.

    이 작업을 위해 소켓 API는 이러한 정보를 담을 수 있는 구조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.


    struct sockaddr

    {

    u_short sa_family;

    char sa_data[14];

    };



    sockaddr 구조체의 첫 번째 값은 주소 패밀리의 종류를 의미한다. 우리가 생성하는 소켓은 인터넷 주소 패밀리를 의미하는 AF_INET

    상수를 사용하므로 여기에서도 AF_INET으로 지정한다.


    두 번째 sa_data는 소켓에 사용할 주소및 포트 번호 등의 값을 지정한다. 총 14바이트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면,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.


    2 Bytes    4 Bytes     8 Bytes

    포트번호   인터넷 주소 사용안함


    이와 동일하게 TCP/IP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구조체를 정의하였다. 바로 sockaddr_in 이며 구조체의 크기나 내용을 비교해보아도 sockaddr과 동일하다.



    반응형

    '프로그래밍 > 네트워크 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TCPClient  (0) 2014.06.12
    TCPServer  (0) 2014.06.12
    소켓의 생성과 파괴  (0) 2014.05.22
    TcpCAsyncClient  (0) 2013.12.29
    like_server.c  (0) 2013.12.29
Designed by Tistory.